메타항목 보기
구분 소장기록
식별번호 v1365/493168398
기록명 자원봉사 민관협력체계 개편을 위한 방안
연구
내용 자원봉사진흥원 설립을 통해 지역단위 자원봉사활성화 지원, 중앙단위 네트워크 조직화, 지역단위 네트워크 지원 등 종합적인 정책지원의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에 따라 건국대학교에서 발행된 연구보고서
목차 목 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제2장 우리나라 자원봉사 현황
제1절 자원봉사의 의의
1. 자원봉사의 개념 및 범위
2. 자원봉사의 발달과정
제2절 자원봉사 지원체계
1. 지원법: 자원봉사활동기본법 및 국가기본계획
2. 자원봉사 관련 주요기관
제3절 자원봉사 구조 변화와 성과
1. 긍정적 성과
2. 부정적 결과

제3장 자원봉사와 거버넌스
제1절 거버넌스의 형성과 발전
1. 형성: 개념과 관점
2. 발전: 민주주의와 접목
제2절 한국의 거버넌스
1. 형성과 전환
2. 최근 동향
제3절 자원봉사 거버넌스
1. 형성과 발전
2. 제도화
3. 성과와 과제
4. 전망

제4장 자원봉사 체계개편 방안
제1절 현행 자원봉사체계의 평가
1. 나름의 체계적인 시스템과 발전적인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
2. 정부의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3. 운영에 있어서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4. 자원봉사를 둘러싼 환경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변화해야한다.
제2절 자원봉사체계의 컨트롤타워 구축의 필요
1. 자원봉사진흥위원회 실질적 기능회복 필요
2. 작은정부를 지향하는 국가에서 봉사활동에 대해 민관협력을 강조하는 현상에 대한 분석·
3.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의 재단법인화
4. 특수법인인 한국자원봉사활동진흥원(가칭) 설립(장기적 관점)
제3절 민관협력 증진을 위한 구체적 개선 방안
1. 자원봉사진흥위원회 관련 사항
2. 행정안전부 관련 사항
3.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에 관한 사항
4.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관련 사항
5. 자원봉사센터 관련 사항
제4절 민간 영역의 자율성과 역량강화
1. 자율성의 의미
2. 의사결정 측면에서의 자율성
3. 내적 동기 측면에서의 자발성
4. 민간영역의 역량 강화
5. 자원봉사활성화를 위한 자원봉사센터의 거점화와 자원봉사센터의 민간화 시
고려해야 할 사항
6. 자원봉사관리자의 국가공인 민간자격제도 도입 필요
제5절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의 개정방향
1. 자치단체의 자원봉사 단체에 대한 보조금 지급 근거 및 절차 마련
2. 민관협력 관점에서의 자원봉사활동 기본법과 동 시행령 검토- 주요 단체(기관)별 관련 법규정 검토
3. 자원봉사법 개정안 검토(위 1항에서 검토한 내용은 제외)

제5장 결론
기록유형 문서류
기록형태 일반문서
생산일자 2019-12-00
생산자 건국대학교, 서종희
저작권 표기 BY-NC-SA
다운로드

자원봉사 민관협력체계 개편 방안연구보고서(최종).pdf  내려받기

메타항목 보기
기록명 자원봉사 민관협력체계 개편을 위한 방안
연구
내용 자원봉사진흥원 설립을 통해 지역단위 자원봉사활성화 지원, 중앙단위 네트워크 조직화, 지역단위 네트워크 지원 등 종합적인 정책지원의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에 따라 건국대학교에서 발행된 연구보고서
목차 목 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제2장 우리나라 자원봉사 현황
제1절 자원봉사의 의의
1. 자원봉사의 개념 및 범위
2. 자원봉사의 발달과정
제2절 자원봉사 지원체계
1. 지원법: 자원봉사활동기본법 및 국가기본계획
2. 자원봉사 관련 주요기관
제3절 자원봉사 구조 변화와 성과
1. 긍정적 성과
2. 부정적 결과

제3장 자원봉사와 거버넌스
제1절 거버넌스의 형성과 발전
1. 형성: 개념과 관점
2. 발전: 민주주의와 접목
제2절 한국의 거버넌스
1. 형성과 전환
2. 최근 동향
제3절 자원봉사 거버넌스
1. 형성과 발전
2. 제도화
3. 성과와 과제
4. 전망

제4장 자원봉사 체계개편 방안
제1절 현행 자원봉사체계의 평가
1. 나름의 체계적인 시스템과 발전적인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
2. 정부의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3. 운영에 있어서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4. 자원봉사를 둘러싼 환경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변화해야한다.
제2절 자원봉사체계의 컨트롤타워 구축의 필요
1. 자원봉사진흥위원회 실질적 기능회복 필요
2. 작은정부를 지향하는 국가에서 봉사활동에 대해 민관협력을 강조하는 현상에 대한 분석·
3.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의 재단법인화
4. 특수법인인 한국자원봉사활동진흥원(가칭) 설립(장기적 관점)
제3절 민관협력 증진을 위한 구체적 개선 방안
1. 자원봉사진흥위원회 관련 사항
2. 행정안전부 관련 사항
3.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에 관한 사항
4.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관련 사항
5. 자원봉사센터 관련 사항
제4절 민간 영역의 자율성과 역량강화
1. 자율성의 의미
2. 의사결정 측면에서의 자율성
3. 내적 동기 측면에서의 자발성
4. 민간영역의 역량 강화
5. 자원봉사활성화를 위한 자원봉사센터의 거점화와 자원봉사센터의 민간화 시
고려해야 할 사항
6. 자원봉사관리자의 국가공인 민간자격제도 도입 필요
제5절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의 개정방향
1. 자치단체의 자원봉사 단체에 대한 보조금 지급 근거 및 절차 마련
2. 민관협력 관점에서의 자원봉사활동 기본법과 동 시행령 검토- 주요 단체(기관)별 관련 법규정 검토
3. 자원봉사법 개정안 검토(위 1항에서 검토한 내용은 제외)

제5장 결론
생산기관 및 생산자 건국대학교, 서종희
생산연도 2019
기록물유형 문서류
원본소장처 프리즘
원본형태 전자
저작권 표기 BY-NC-SA
관련 검색어 민관협력체계, 연구, 자원봉사 네트워크, 조직화, 자원봉사활성화, 건국대학교, 논문
관리번호 v1365/493168398
목록유형 소장기록
다운로드

자원봉사 민관협력체계 개편 방안연구보고서(최종).pdf  내려받기